반응형
MVC 패턴 특징 정리
모델 (데이터 담당)
- 데이터를 정의한다.
- View나 Controller와는 독립적이다.
- UI와 상호작용 하지 않는다. 오로지 데이터만 처리!
-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 담당.
(비즈니스 로직이란 캐릭터의 체력을 감소시키는 규칙이 비즈니스 로직)
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하는 모델 예시 코드 (PlayerModel이 비즈니스 로직이다)
뷰 (UI 담당)
- UI를 담당하며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임.
- 모델처럼 Model과 Controller와는 독립적이다

컨트롤러 (뷰 모델 연결 및 사용자 입력 받음)
-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입력(Input)(키보드, 마우스, 터치 등)을 받는 것이 특징.
- 모델과 뷰를 들고 있는것이 두 번째 특징.
- 즉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모델에 전달한고 수정 된 모델의 값을 뷰에 전달한다.

그 외 특징
- MVC 패턴은 1 : N 구조이다. 즉 여러개의 뷰를 들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.
- 컨트롤러는 뷰를 직접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것이 아님 정확하게는 모델의 정보를 뷰에 전달해서 뷰에서 처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직접 업데이트 하는 것이 아니다

제목1 (본명조)
ㄴ제목2
ㄴul li
반응형
'유니티 > 구현내용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유니티 방치형 프로젝트 - 몬스터를 지정 반경 내에 랜덤하게 스폰 시키기(Random.insideUnitSphere) (0) | 2025.03.11 |
|---|---|
| 유니티 Robots 프로젝트 - 매치메이킹 구현 #1 (2) | 2025.03.04 |
| 어드레서블 - AWS 서버에서 다운로드 해야 할 리소스 파일 확인 하는 방법 (0) | 2025.02.16 |
| 유니티 데이터 드리븐 구조를 사용해서 게임 로직과 데이터를 분리하기 (0) | 2025.01.20 |
| 유니티 옵저버 패턴 정리 (디자인 패턴) (0) | 2025.01.19 |
